재무상태표 / 손익계산서 |
1 |
질문 |
[재무상태표]
재고자산 평가손실과 평가충당금 분개를 했는데,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기말재고가 다릅니다 |
답변 |
평가손실 계정설정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<상품, 제품 계정의 평가손실/환입 표시 - 영업외비용/수익 계정그룹, 매출원가 가산/차감 설정>
재고자산평가손실 > 계정그룹 : 영업외비용 / 계정구분 : 매출원가가산 / 관련계정 : 매출원가계정
재고자산평가충당금 > 계정그룹 : 재고자산 / 계정구분 : 차감 / 관련계정 : 재고자산계정
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> 계정그룹 : 영업외수익 / 계정구분 : 매출원가차감 / 관련계정 : 매출원가계정
[결산자료입력]을 통해 자동분개가 가능합니다.
< 상품, 제품 계정의 평가손실/환입 표시 - 매출원가 계정그룹, 매출원가 가산/차감 설정>
재고자산평가손실 > 계정그룹 : 매출원가 / 계정구분 : 매출원가가산 / 관련계정 : 매출원가계정
재고자산평가충당금 > 계정그룹 : 재고자산 / 계정구분 : 차감 / 관련계정 : 재고자산계정
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> 계정그룹 : 매출원가 / 계정구분 : 매출원가차감 / 관련계정 : 매출원가계정
[결산자료입력]을 통한 자동분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
[전표입력]에서 차) 재고자산평가손실 XXX 대) 재고자산평가충당금 XXX 로 직접 분개해야 합니다. |
 |
2 |
질문 |
[손익계산서]
비용과 수익 입력한 전표 중 일부가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지않습니다.
(원장 금액과 손익계산서 조회되는금액이 다릅니다) |
답변 |
손익계산서에는 비용은 차변에, 수익은 대변에 입력된 계정이 조회됩니다.
차감 분개의 경우 자기변에 음수로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. |
3 |
질문 |
[손익계산서]
손익계산서 조회시 "XX매출원가의 당기 기초재고액(XXX)과 전기 기말재고액(XXX)이 다릅니다." 라고 오류 발생합니다. |
답변 |
손익계산서의
당기 기초재고액 : [초기이월등록]의 재무상태표상 해당 재고자산 계정 금액
전기 기말재고액 : [초기이월등록]의 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계정 우측하단 기말재고액란 금액입니다.
데이터 확인하여 [초기이월등록]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. |
 |
4 |
질문 |
[손익계산서]
전기 순이익인데 전기란에 음수(-)로 표시됩니다. |
답변 |
해당란은 당기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.
당기 순손실의경우 전기이익은 음수(-)로 표시되며, 전기손실이 양수로 표시됩니다. |
 |
5 |
질문 |
[재무상태표]
재무상태표에 조회되는 전기 미처분이익잉여금 + 당기순이익 금액이 당기 미처분이익잉여금과 일치하지 않습니다.
(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미처분이익잉여금과 재무상태표의 미처분이익잉여금이 일치하지 않습니다.) |
답변 |
[합계잔액시산표]의 툴바 '결산데이터검증' 기능으로 잘못 입력된 전표 확인 가능합니다.
결산 데이터 검증을 통해 검증 내역을 수정하거나 수정했으나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.
A. [합계잔액시산표]에서 비용계정이 대변에, 수익계정이 차변에 표기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만약 비용계정이 대변, 수익계정이 차변에 발생한 내용이 존재하면 해당 전표를 자기변의 음수 금액으로 수정 입력합니다.
B. 제조원가 발생 금액 중 대체 분개로 처리되지 않은 사항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C. 사용하지 않은 원가로 분개한 경비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
D. 전기의 이익잉여금처분 항목 중에서 전표에 누락된 내역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E. [시스템환경설정] 06.금액소수점자릿수를 ‘4’로 설정하고 재 로그인 후, 합계잔액시산표에 소수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 |
 |
6 |
질문 |
[재무상태표]
원/부재료 평가손실 입력하고 싶습니다. |
답변 |
수동분개 항목이며 계정설정 및 분개는 아래와 같습니다.
[계정과목등록]
원재료평가손실 > 계정그룹 : 영업외비용 / 계정구분 : 재료평가손실 / 관련계정 : 원재료계정
원재료평가충당금 > 계정그룹 : 재고자산 / 계정구분 : 차감 / 관련계정 : 원재료계정
원재료평가손실환입 > 계정그룹 : 영업외수익 / 계정구분 : 재표평가환입 / 관련계정 : 원재료계정
분개방법
: [전표입력]에서 직접 대체분개까지 입력하셔야 [원가보고서]의 기말재고 금액이 장부의 잔액과 일치하게 됩니다.
※ [평가손실]분개한 경우
차)원재료평가손실 XXX 대)원재료평가충당금 XXX
차)원재료비 XXX 대)원재료평가손실 XXX
차)재공품 XXX 대)원재료비 XXX
차)제품 XXX 대)재공품 XXX
차)매출원가 XXX 대)제품 XXX
※ [평가손실환입]분개한 경우
차)원재료평가충당금 XXX 대)원재료평가손실환입 XXX
차)원재료평가손실환입 XXX
차)원재료비 -XXX
차)재공품 -XXX 대)원재료비 -XXX
차)제품 -XXX 대)재공품 -XXX
차)매출원가 -XXX 대)제품 -XXX
위와 같이 전표입력에 분개가 입력되었다면 [결산자료입력] 메뉴에서 기말원재료재고액은 실재고액으로 입력 후 자동 분개를 진행합니다.
[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] 메뉴에서 손익대체 분개를 진행합니다.
단, [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] 메뉴에서 전표생성 시 아래의 평가손실/평가환입 손익대체 분개가 중복으로 자동분개 되므로 손익대체 된 아래의 분개를 삭제해야 합니다.
[평가손실] 분개한 경우 : 차) 원재료비 300,000 대) 평가손실 300,000
[평가손실환입] 분개한 경우 : 차) 평가손실환입 XXX
차) 원재료비 - XXX |
 |
7 |
질문 |
[손익계산서]/[재무상태표]
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기말재고금액이 다릅니다. |
답변 |
A. 타 계정으로 처리 한 분개는 “타계정 입고”, ”타계정 출고”로 구분 값이 처리되어 있어야 합니다.
(전표입력에서 관련 재고자산 관리항목부분에서 타계정 구분을 확인합니다.)
B. 매출원가 처리 분개 중 상대계정이 재고자산이 아닌 다른 계정과목으로 처리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[합계잔액시산표] 툴바 '결산데이터검증' 으로 해당전표 확인가능합니다.
|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