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외주처별 물품출고 관리를 위한 메뉴로, 이는 외주관리에 외주처별 입출고현황, 외주처별 재고현황 외주처 부서/사원별재고현황 외주처별물품별 재고현황에 반영됩니다.
유. 무상 구분하는 란에 유상으로 체크한 데이터는 "판매관리" - 출고입력메뉴와 연계되어 있습니다.

상단
- 1. 외주출고일
- 외주 물품이 출고된 일자를 입력합니다.
- 2. 코 드
- 물품이 출고된 외주 거래처의 코드를 입력(선택)합니다. (F2 : 외주처코드도움)
- 3. 외주처명
- 외주처코드 입력 시 외주처명이 자동표기 됩니다.
- 4. 코 드
- 물품이 출고된 외주처의 창고명을 입력(선택)합니다. (F2 : 창고코드도움)
- 5. 창고명
- 창고코드 입력 시 창고명이 자동표기 됩니다.
- 5. 코 드
- 외주처의 부서/사원코드를 입력(선택)합니다. (F2 : 부서/사원코드도움)
- 6. 부서/사원명
- 부서/사원코드 입력 시 부서/사원명이 자동표기 됩니다.
- 7. 유 . 무상
- 1:여, 2:부 를 입력합니다.
사용자가 원재료 등 물품의 대가를 부담하고 (유상사급) 거래처로부터 인도받은 물품에 공작을 가하여 새로운 재화를 만드는 경우 1:여 를, 거래처로부터 인도받은 원재료 등 물품에 사용자가 대가를 부담하지 않고 (무상사급) 단순히 가공만 하여 주는 경우에는 2:부 를 입력합니다.
* 외주출고입력의 유.무상에서 유상(1:여)으로 체크된 데이터는 판매관리_출고입력메뉴상 프로그램 툴바의 기타의 외주출고를 불러오기하면 반영됩니다.
- 8. 외주출고번호
- 외주입고일자에 의해 외주입고번호가 부여됩니다.
(환경설정에 의한 문서번호 부여방식에 따라 1.자동부여 2.수동입력이 가능합니다.)
하단
- 1. 자산
- 자산명을 선택합니다. (1.상품 2.원재료 3.부재료 4.제품 5.반제품 6.부산품 7.저장품)
- 2. 품목코드
- 품목코드를 입력 및 선택합니다. (F2 : 물품코드도움)
- 3. 품 명
- 품목코드 입력 및 선택 시 품명이 자동표기 됩니다.
- 4. 규격
- 품목코드 입력 및 선택 시 규격이 자동표기(입력)됩니다.
- 5. 단위
- 품목코드 입력 및 선택 시 단위가 자동표기 됩니다.
- 6. 수 량
- 입고된 품목의 수량을 입력합니다.
- 7. 단 가
- 출고된 품목의 단가를 입력합니다.
- 8. 금 액 /dt>
- 수량과 단가에 의해 자동 계산되어 표기됩니다.
- 9. Loss
- 출고된 물품의 Loss율을 입력합니다.

검색
날짜, 외주처코드, 창고코드, 부서/사원코드, 프로젝트코드, 유.무상여부, 유형별 조건을 주어 검색조건입력에 따라 특정 자료의 빠른 검색을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현재고
품목명란에 커서를 놓고 프로그램 툴바의 현재고 클릭 시 해당품목의 창고명/프로젝트명 재고현황을 현재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복사
복사 : 선택된 데이터를 그대로 두고, 데이터 복사일자를 입력한 날짜로 다시 복사하는 기능입니다.
이동 :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후, 데이터 이동일자를 입력한 날짜로 이동하는 기능입니다.
상단에 체크한 라인의 데이터는 하단 데이터를 포함하여 복사 및 이동합니다.
기간설정
"사용" 으로 변경 시 아래와 같이 작업기간을 FROM~TO 로 정의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"미사용"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.
입력옵션
자산명에서 9.BOM 선택 시 BOM데이터가 반영됩니다.
* B.O.M 선택=>B.O.M에 등록한 소요량을 곱하여 B.O.M수량이 계산됩니다.
* 모품목코드 + B.O.M 선택 => BOM에 등록한 소요량을 곱하여 모코드 및 BOM 수량이 계산됩니다.


본 메뉴는 외주관리_외주입고,출고입력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외주처별물품별 재고현황이 기간별로 조회.출력됩니다.
1. 합계별 2.건별을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외주처별>물품코드별 입,출고 수량 및 재고수량이 외주처별물품별 합계별, 건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.

입력옵션
선택 옵션에 따라 외주입고,출고입력에서 입력한 데이터가 반영됩니다.
* 회사->외주처 : 회사에서 외주처로 입고,출고한 조회 화면으로 구성되어 재고수량을 조회합니다.
* 외주처->회사 : 외주처에서 회사로 입고,출고한 조회 화면으로 구성되어 재고수량을 조회합니다.